디지털 전환 위한 솔루션 5종 출품
에너지산업의 현재와 미래 논의

한전KDN, BIXPO 2025서 ‘에너지 ICT 대전환’ 솔루션 대거 공개 이미지 [사진=한전KDN 제공]
한전KDN, BIXPO 2025서 ‘에너지 ICT 대전환’ 솔루션 대거 공개 이미지 [사진=한전KDN 제공]

라이센스뉴스 = 김재용 기자 | 한전KDN(사장 박상형)이 5일부터 7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BIXPO) 2025’에 참가해 에너지ICT 핵심 솔루션을 선뵌다고 6일 밝혔다.

BIXPO는 한전이 주최하는 세계적인 전력기술 박람회로 에너지 산업의 혁신 기술과 트렌드를 공유하는 행사다. 올해는 ‘Connect Everything with Energy’를 주제로 LS, HD현대일렉트릭 등 국내외 에너지 관련 주요 업체들이 참가한다.

한전KDN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탄소중립 실현과 전력망 안정화, 디지털 전환을 위한 솔루션 5종 ▲K-H2 ECP(수소도시 플랫폼)  ▲E:모음(KDN-VPP 플랫폼) ▲재생에너지 감시제어장치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FRTU) ▲SG 기기 보안인증시스템을 출품했다.

한전KDN의 ‘K‑H2 ECP’는 수소 생산부터 저장·운송·활용까지의 전주기를 통합 관리하는 플랫폼이다. 디지털트윈 기반의 모니터링 기술과 증강현실(AR)을 접목해 시설 상태를 실시간 확인함으로써 안전과 효율을 동시에 확보했다.

해당 시스템은 전주·완주, 안산 수소시범도시에 구축돼 운영 중이며 1·2기 수소 도시인 보령, 당진, 부안과도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전국 단위 확산을 본격화하고 있다.

‘E:모음’은 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소규모 발전소를 하나의 가상발전소(VPP)처럼 통합·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인공지능 예측모델을 통해 전력 수요와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에너지자원을 최적의 효율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관리로 수요자와 발전사업자 간 효율적인 전력거래를 지원한다.

‘재생에너지 감시제어장치’는 태양광·풍력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의 전력품질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선로 불평형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 장치다.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비가 낮아 다양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FRTU)’는 배전선로 데이터 취득과 개폐기 감시·제어를 통한 원격운영의 핵심 장비로 기존 대비 30% 향상된 데이터 전송속도와 보안 기능을 갖춰 한전 배전자동화 시스템 현장 운용을 통해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다.

스마트그리드 기반 인프라 보안을 위한 ‘SG 기기 보안인증시스템’은 전력기기(AMI, 배전, EV등)별 고유 인증서를 부여해 해킹이나 위변조를 방지하는 것이다. 2018년 한전 FEP 서버와 DCU, 모뎀 등에 도입한 이후 EV충전기, AMR설비 등으로 확장해왔으며 2022년 고압 AMR 설비와 스마트계량기 보안인증 연계로 그 성능을 검증받고 있는 시스템이다.

한전KDN은 이번 BIXPO 참가를 통해 기술 홍보를 넘어 국민과 산업계에 자사의 에너지ICT 비전을 공유하는 ‘소통형 전시’를 구현하고자 전시관 내 기술 세미나와 SNS 참여 이벤트, 현장 설문조사를 통한 관람객 의견 수렴으로 향후 제품 개선과 서비스 기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한전KDN 관계자는 “BIXPO는 에너지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함께 논의하는 자리로 한전KDN이 공기업으로서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을 선도하고 국민과의 신뢰를 강화할 수 있는 뜻깊은 무대”라며, “앞으로도 에너지ICT 기술력을 기반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력 환경을 조성하는 데 앞장서며 국민과 함께 지속가능한 에너지 미래를 만들어 가는 플랫폼 전문 공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본 기사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볼 수 있습니다.
번역을 원한다면 해당 국가 국기 이모티콘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This news is available in English, Japanese, Chinese and Korean.
For translation please click on the national flag emoticon.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라이센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