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중심 AI 인프라 구축 가속화…국내 전력설비 주가 랠리 힘입어 순자산↑
연초 이후 개인 순매수 1653억원으로, 개인 투자자들 관심도 지속 상승
연초 이후 수익률 142.6% 기록…코스피 상승률 64.3%로 2배 이상 초과 달성

삼성자산운용은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의 순자산이 6200억원을 기록했다. [사진=삼성자산운용 제공]
삼성자산운용은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의 순자산이 6200억원을 기록했다. [사진=삼성자산운용 제공]

라이센스뉴스 = 김준서 기자 | 삼성자산운용은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의 순자산이 6200억원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7월 상장한 이 상품은 AI전력 ETF 시장을 열었으며, 개인 및 기관 매수세에 힘입어 국내 AI전력 ETF 중 가장 큰 규모로 자리 잡았다. 같은 시기 상장한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도 순자산 1조2000억원 이상으로 성장했다.

이러한 성장 배경은 AI 시대 본격화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국내 전력설비 기업들이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고 미국과 유럽 등에서 초고압 변압기 등 전력기기 수주가 확대되며 주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연초 이후 개인 순매수는 1653억원이며, 10월에도 자금 유입이 이어졌다. 성과도 뛰어나다. 연초 이후 수익률 142.6%로 코스피 상승률 대비 두 배 이상을 기록했다. 최근 1개월 30%, 3개월 40.4%, 6개월 139.8%, 1년 150.9%의 수익률을 나타냈다.

주요 편입 종목은 효성중공업, HD현대일렉트릭, LS Electric 등 전력설비 ‘BIG 3’가 약 68%를 차지한다. 이 외에도 LS, 대한전선, 산일전기 등 국내 주요 전력 인프라 기업들이 포함돼 산업 전반의 성장을 추구하는 구조다.

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에 따른 글로벌 설비 수요 폭증이 성장세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 기업은 생산 경쟁력을 기반으로 공급자 우위 시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이대환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AI로 인한 신규 수요와 노후화된 설비 교체 수요가 맞물리면서 역대급 수주가 이어지고 있다”며 “KODEX AI전력핵심설비는 전력 부족 상황 속에서 중장기 슈퍼사이클에 진입한 국내 대표 전력설비 기업에 효율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본 기사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볼 수 있습니다.
번역을 원한다면 해당 국가 국기 이모티콘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This news is available in English, Japanese, Chinese and Korean.
For translation please click on the national flag emoticon.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라이센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