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 ‘글로벌 은행산업 트렌드’ 보고서 발표

국제금융센터의 지난 25일 ‘글로벌 은행산업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사진=김상미 기자]
국제금융센터의 지난 25일 ‘글로벌 은행산업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사진=김상미 기자]

라이센스뉴스 = 김상미 기자 | 지난주 글로벌 은행산업 주요 이슈로는 미국 상업용부동산(CRE) 시장 부진에 따른 은행들의 수익 제약이 가장 두드러진 이슈로 부각됐다.

국제금융센터의 지난 25일 ‘글로벌 은행산업 트렌드’ 보고서 발표에서다.

지난주 글로벌 은행산업 주요 이슈는 ▲미국 상업용부동산 시장 부진에 따른 은행 영향 ▲주요국, 대형은행 규제 개선 노력 ▲일본 대형은행들, 17년만에 보통예금 금리 인상이다.

이와 함께 서방의 러시아 금융제재 강화 효과 가시화와 중국 규제당국의 비은행금융기관 관련 규제 강화 등도 이슈화됐다.

또한 은행권 주가는 완화적 FOMC(미연방 공개시장 위원회) 회의 결과에 따른 위험선호가 강화됐으며, 일본은행 피봇 등으로 주가가 상승한 것도 이슈이다.

블룸버그 자료에 의하면, 국내외 은행산업 주가는 평균 미국 3.6%, 유럽 3.6%, 일본 6.7%, 중국 0.8%, 한국 0.8% 상승했다.

[자료=블룸버그/국제금융센터]
[자료=블룸버그/국제금융센터]

◆ 미국 상업용부동산 시장 부진, 일부 은행들의 수익 제약 요인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상업용부동산 시장 부진이 일부 은행들의 수익 제약 요인이 됐다.

상업용부동산 대출 부실 및 상각이 금융위기 수준에 도달하지 않았으나 손실 위험이 지속될 경우 취약 은행들의 충당금 확대가 불가피하다. 지급능력, 유동성보다는 수익성에 악영향이다.

미국 은행들 중에서는 Cullen/Frost, M&T Bank, Synovus, Citizens Financial에서 수익 약화 위험이 큰 편(Evercore ISI)이다.

또한 미국, 유럽의 부동산 시장이 반등할 가능성이 적은 가운데 소형 유럽은행들이 상대적으로 취약할 소지가 있다. Fed 및 ECB가 예상대로 연내 금리 인하 시 관련 위험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로존 은행들의 상업용부동산 익스포저는 총자산의 5%로 추정된다. 은행 대부분은 충분한 완충장치가 있지만 소규모 은행들은 노출이 더 클 수 있다고 지적(ECB)했다.


◆ 주요국 규제당국, 대형 은행들에 대한 규제 개선 노력


보고서는 주요국 규제당국, 대형 은행들에 대한 규제 개선 노력도 이슈화됐다고 밝혔다.

스위스중앙은행(SNB)은 Credit Suisse 파산의 여파로 시스템적 중요 은행들에 대한 유동성 및 자본규제 개선을 요구했다. 내달 ‘대마불사’ 은행 규제에 대한 권고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OECD 등 국제기구들도 스위스 경제 규모에 비해 UBS의 자산 규모가 과도해 스위스 및 글로벌 금융안정성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또한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는 16년 만에 처음으로 은행들의 합병 지침을 업데이트. 자산규모가 $1,000억이 넘는 은행이 합병하는 경우 FDIC의 감시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 일본 대형은행들, 17년 만에 보통예금 금리 인상


보고서는 일본 대형은행들, 17년 만에 보통예금 금리 인상했다는 소식도 언급했다.

MUFG 및 SMBC는 일본은행이 3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마이너스금리정책 종료 이후 엔화보통예금 금리를 인상(0.001% → 0.02%)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Mizuho, SMTB 및 Resona Bank 등도 예금금리 인상을 고려 중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일본은행은 NIRP를 종료하면서 중앙은행에 예치된 초과지준에 0.1%의 이자를 지급키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주요 은행들은 연간 약 1,000억엔의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을 전망이다.

다만, 은행들은 더 높은 수익을 얻기 위해 자금을 중앙은행에 그대로 예치하지 않고 국채 등을 매입할 가능성이 크다(Bloomberg 애널리스트, Hideyasu Ban).

보고서는 서방의 러시아 금융제재 강화 효과 가시화를 이슈로 언급했다. 사진은 여의도 금융가. [사진=김상미 기자]
보고서는 서방의 러시아 금융제재 강화 효과 가시화를 이슈로 언급했다. 사진은 여의도 금융가. [사진=김상미 기자]

 


◆ 서방의 러시아 금융제재 강화 효과 가시화


보고서는 서방의 러시아 금융제재 강화 효과 가시화를 이슈로 언급했다.

미국은 `24년 초 외국 금융기관에 대한 러시아 관련 제재를 강화했는데 그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두바이의 주요 국영은행들은 러시아 과두정치인과 석유 거래업체들이 보유한 일부 계좌를 폐쇄했으며 터키 은행들은 러시아 관련 사업을 취급하는 것을 경계한다.

중국 Ping An Bank와 Bank of Ningbo가 러시아에서 송금되는 위안화 결제 서비스를 중단했으며 그 외 몇 개의 대출기관들도 러시아 거래를 일부 제한하고 있다.

미국은 오스트리아의 Raiffeisen Bank International이 러시아 재벌의 €15억 산업 지분을 매입하려는 계획을 철회하도록 압력이다.

한편 일부 서방 은행들은 EU 지도자들이 러시아 동결자산으로부터 얻는 이자수익(연간 €30억)을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에 활용하자고 제안한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은행들은 우크라이나 송금에 연루될 경우에 나중에 러시아가 법적 책임을 요구할 수 있으며 EU의 계획이 제재 대상 개인 및 기업의 자산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경계해야 한다.


◆ 중국 규제당국, 비은행금융기관 관련 규제 강화


보고서는 중국 규제당국의 비은행금융기관 관련 규제 강화를 마지막 이슈로 언급했다.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NFRA)은 개인 소액대출을 제공하는 비은행금융기관의 자본금 한도를 10년 만에 상향(기존 3억위안 → 10억위안)하고 기관의 주요 투자자들에 대한 요건도 변경했다.

주요 투자자들은 소비자대출업체의 지분을 최소 50%(기존 30%) 이상 보유해야 함. 또한 금융기관 투자자는 최근 회계연도 총자산이 5,000억위안(기존 600억위안) 이상, 비금융기관 투자자는 영업 이익이 600억위안(기존 300억위안)이어야 한다. 내달 18일부터 시행된다.

이번 조치는 중국이 금융산업 전반에 걸쳐 규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발표된 것으로 새로운 참여자들을 잠재적으로 억제할 가능성이 있다는 평가다.

본 기사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볼 수 있습니다.
번역을 원한다면 해당 국가 국기 이모티콘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This news is available in English, Japanese, Chinese and Korean.
For translation please click on the national flag emoticon.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라이센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