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착 관련 상대 ‘존중’ 메시지 강조
80년대 한국 문화 평화롭게 표현해

(사진 = 판씨네마)
(사진 = 판씨네마)

라이센스뉴스 = 전규식 기자 | 영화 미나리에서는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 가족이 평화로우면서도 위태롭게 정착하는 이야기를 감상할 수 있다.

여기서 정착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서로의 방식과 특징에 대한 ‘존중’으로 나타난다. 존중과 관련한 문제의식은 한인 부부 제이콥(스티븐 연), 모니카(한예리)의 갈등을 통해 잘 드러난다.

제이콥과 모니카는 딸 앤(노엘 조)과 아들 데이빗(앨런 김)을 데리고 미국 남부에 위치한 아칸소주의 한 농장으로 이주한다. 모니카는 앞으로 살게 될 집에 도착하자마자 실망한다. 바퀴가 달린 트레일러를 주거지로 개조한 집이 아무것도 없는 벌판에 덩그러니 놓여 있기 때문이다.

반면, 제이콥은 기대감에 부푼 모습을 보인다. 그는 손으로 흙을 한 움큼 쥐어 모니카에게 내보이며 땅이 기름지다는 것을 해맑게 강조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밭을 개간해 한국 채소들을 길러서 이주 한국인들에게 팔겠다는 계획을 밝힌다.

두 사람은 자식들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자신의 방식을 서로에게 주장한다. 하지만 이 영화는 그들이 주장하는 각자의 방식이 자식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위한 것이라는 걸 보여준다.

모니카는 농장에서 지내면 아이들 교육에 안 좋고 가족은 결국 망하게 될 거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녀는 사람들이 좀 더 많은 곳에서 친구들을 사귀고 쇼핑도 즐기면서 살고 싶을 뿐이다.

제이콥은 자식들에게 아버지가 뭔가를 이룰 수 있다는 걸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는 캘리포니아에 거주하던 시절부터 해온, 병아리 부화장에서 수컷과 암컷을 분류하는 작업을 더 이상 하고 싶지 않을 뿐이다.

두 사람은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모니카의 어머니이자 제이콥의 장모인 순자(윤여정)를 집에 모시기로 합의한다. 순자는 집에 올 때 고춧가루, 한약 등을 가져온다. 이것들은 제이콥, 모니카 가족이 한국 본토 문화에 대한 향수를 되새기게 한다.

고춧가루, 한약뿐만 아니라 지난 1980년대 시절 한국 방송이 녹화된 비디오 테이프, 당시 텔레비전, 손을 들고 벌을 서는 데이빗의 모습 등은 한국 문화를 평화롭게 표현한다. 이것은 피아노, 현악기, 목관 악기의 음악 그리고 농장 자연과 더불어서 영화의 주요한 배경이 된다.

배경이 되는 한국 문화는 타지로 이주하고서도 자신만의 방식을 ‘고집’하는 제이콥, 모니카 부부를 상징하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제목이기도 한 미나리는 서로에 대한 존중의 상징으로 해석된다. 이 영화에서 미나리는 어디에서든지 잘 자라고, 가진 사람도 없는 사람도 차별 없이 먹을 수 있는 식물로 설명된다.

미나리의 이런 특징은 영화 속 순자와 폴(윌 패튼)의 모습과 닮았다.

본 기사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볼 수 있습니다.
번역을 원한다면 해당 국가 국기 이모티콘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This news is available in English, Japanese, Chinese and Korean.
For translation please click on the national flag emoticon.

키워드

#미나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라이센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