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경찰 관리규칙 제136조

라이센스뉴스 = 박세창 기자 | 의무경찰이 자해로 사망할 경우에도 공무수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면 ‘순직으로 인정’ 받고 전투 또는 전투에 준하는 직무수행 이후에  사망한 경우에도 전사자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된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와 경찰청, 해양경찰청은 공동으로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의무경찰의 사망이나 부상·질병에 대한 전·공사상 심사결과를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의무경찰 관리규칙’의 ‘전·공사상 분류기준’을 개정해 의무경찰의 순직과 공상의 인정범위를 확대하도록 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의무경찰이 자해로 인해 사망하더라도 공무와 상당인과관계가 있는 경우 순직으로 인정하도록 했다. ‘군인이 軍 복무 중 자살로 사망한 경우에도 직무수행과 그 사망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다면 국가유공자에서 제외되어서는 안된다’는 대법원의 판결 등을 고려한 것이다.

공무수행과 질병의 발생·악화간 인과관계 입증도 완화했다. 기존 전·공사상 분류기준에는 당해 질병의 발생 또는 악화가 공무수행과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의학적으로 판단’될 경우 순직·공상으로 인정되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공무수행 중 사망·상이가 되기 위한 인과관계는 반드시 의학적·자연과학적으로 명백히 증명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대법원의 판결 등을 고려하여 전·공사상 분류기준에서 ‘의학적으로 판단’ 문구를 삭제한 것이다.

전투 또는 전투에 준하는 직무수행 중 상이를 입고 그 상이가 원인이 되어 전역한 후에 사망한 경우 전사자로 인정받지 못하였으나 전역한 후에 사망한 경우에도 전사자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전·공사상 분류기준을 정비했다. 

국가를 위해 복무한 자에 대한 예우를 강화할 필요가 있고 ‘공무원재해보상법’에서도 퇴직 후에 재직 중의 공무상 재해로 사망한 공무원을 ‘순직공무원’에 포함시키고 있는 점을 감안했다.

경찰청에서는 일부 개정한 ‘의무경찰 관리규칙(경찰청 훈령)’을 지난해 12월부터 의무경찰의 전·공사상심사에 적용하고 있으며 해양경찰청에서는 현재 관련 규정에 대한 개정 절차가 진행 중이다.

 

psc@lcnews.co.kr

본 기사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볼 수 있습니다.
번역을 원한다면 해당 국가 국기 이모티콘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This news is available in English, Japanese, Chinese and Korean.
For translation please click on the national flag emoticon.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라이센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